|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
| 4 | 5 | 6 | 7 | 8 | 9 | 10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 25 | 26 | 27 | 28 | 29 | 30 |
- VUE
- 웹개발자
- 큐넷
- Redux
- Node.js
- spring boot
- frontend
- 리액트
- JS
- 스프링부트
- 수제비
- 프론트엔드
- spring
- useState
- JavaScript
- 백엔드
- 백엔드개발자
- It
- JWT
- 자바스크립트
- React
- TypeScript
- 정보처리기사
- 타입스크립트
- Authentication
- Front-End
- security
- 정보처리기사 실기
- TS
- spring boot security
- Today
- Total
목록2022/09 (18)
솔적솔적
목표 1. 개발환경 셋팅 2. Vue 프로젝트 생성 1. node.js 부터 설치 2. 최신버전이 아니면 에러가 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최신버전으로 다운받아놓기 3. vsCode 에디터 설치 에디터설치가 완료된다면 터미널을 열어서 npm install -g @vue/cli 4. 에디터 부가기능 설치 - vetur 설치 - html css support - Vue 3 Snippets 개발환경 셋팅 끝! 근데 만약 터미널에 빨간에러가 뜬다면 "허가되지 않은 스크립트 입니다~" 그런 에러가 뜨는 경우 => 윈도우 검색메뉴 - Powershell 검색 -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Set-ExecutionPolicy Unrestricted입력해보기
뷰말고도 리액트, 앵귤러도 똑같이 웹앱을 만들 수 있다. 리액트를 사용하는 개발자가 많은데 왜 뷰를 사용할까? 1. 쉽다.. 뷰.js를 쓰는 이유는 쉽다는 것. 그러면 기능이 떨어지는 거아니냐? 아니다. 다 똑같은 결과물을 낼 수 있고 그 만드는 과정이 쉽다는 것이다. React의 state변경, for변경, if 사용들을 보면 알 수 있다. 2. 개발할 때 방법이 정해져있다는 것 HTML을 내가 반복적으로 여러개 생성하고 싶다면? 리액트로는 map을 사용할지, forEach를 사용할지, 그냥 일반 for을 사용할지 반복문을 컴포넌트 render()바깥에서 사용할지 안에서 사용할지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vue.js는 그렇지 않다. html 여러개를 생성하고 싶다면 이 v-for만 사용하면..
Mongoose란 몽고DB에 데이터를 넣었다가 뺐다가할 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2가지있는데, 두가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는데 1. MongoDB Native Driver 2. Mongoose 이 두개 중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둘의 관계는 MonoDB Native vs Mongoose 자바스크립트 와 제이쿼리 같은 관계라고 생각하자. 제이쿼리 없이 쌩자바스크립트로도 개발을 할 수 있지않은가? (원래 자바스크립트로도 당연~히 기능 구현할 수 있지만) 쌩MonoDB Native 로 데이터입출력을 할 수 있는데 몽구스를 사용하면 더 직관적이여서 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validation을 쉽게할 수 있다. 🎈여기서 validation이란? 우리가 아이디 입력란을 만들어서 ..
세션인, jwt이나 여러 인증방법이 있는데 이걸 들었을 때 서버에 요청을하고~ 브라우저에 저장하고~ 요청할 때는~ 에구궁에구궁.. session방식과 JWT방식등이 헷갈려지지않게 딱 정리하여 기록하는 것이 좋겠다 싶어 오늘도 솔적솔적해보려한다. 너무 깊이 말고 간단한 이해를 목표로하여 알아가도록하자. | 1. session-based 어떤 사람이 로그인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다. 그러면 서버는 쿠키를 발행한다. 쿠키가 뭐냐면 브라우저에 몰래 저장할 수 있는 긴 문자 저장공간. 문자들을 차례차례 저장할 수 있다. 문자열을 만들어서 보낸다. 그 문자열에는 세션아이디가 적혀있다. 이 유저가 로그인을 하자마자 이 유저가 지금 로그인을 했다라는 정보를 서버 메모리에 저장을 한다. 저장이 됐다하면 쿠키로 만들어서 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