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Authentication
- Front-End
- JWT
- 리액트
- 백엔드개발자
- It
- 백엔드
- Node.js
- TypeScript
- spring boot
- 수제비
- 웹개발자
- VUE
- useState
- 정보처리기사
- TS
- JS
- frontend
- spring boot security
- Redux
- 프론트엔드
- React
- 정보처리기사 실기
- 큐넷
- 스프링부트
- 타입스크립트
- JavaScript
- security
- 자바스크립트
- spring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9)
솔적솔적
개발과 운영을 하다 보면 반복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작업들이 꼭 생기는데,이걸 데이터 적재, 로그 정리, 특정 시간대에만 실행해야 하는 집계 같은 것들이 있다.이것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하면서 이런 작업들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었고,윈도우 환경에서 배치 프로그램을 구현했던 경험이 있다. 당시 내가 썼던 방법은 크게 세 가지였다. 1. Java 배치 프로그램 + Jenkins 자동화 배포처음에는 Java로 배치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jar 파일로 빌드해서 Jenkins에 등록해두고, 스케줄링과 배포를 자동화하는 방식이었다. 구현하려했던 방식 java spring boot 프러임워크를 이용하여 정한 시간대마다 주기적으로 도는 배치프로그램을 만들고 MSSQL에 접속하여 만들었던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방식,이 접근 ..
- MSSQL은 T-SQL (Transact-SQL)이라는 자체 문법 사용.- DECLARE로 변수를 선언하고, SET 또는 SELECT로 값을 할당.- 조건문은 IF ... ELSE를, 반복문은 WHILE을 주로 사용 예외 처리 문법 차이MSSQL: BEGIN TRY ... END TRY와 BEGIN CATCH ... END CATCH를 사용해 예외를 처리.에러 메시지는 ERROR_MESSAGE()와 같은 내장 함수로 가져온다. 1. CREATE PROC DELETE_BOARDGETTO_LOG 이 DELETE_BOARDGETTO_LOG 라는 이름의 저장 프로시저를 만들겠다.2. AS 정의하고,3. 여러 문장들을 뭉텅이로 관리할 수 있게 BEGIN, END으로 문장을 감싼다. 3-1. 여기서, 프로시저,..
왜 TypeScript를 사용할까? 자바스크립트와 비교하며 이해하며 정리하는 것이 오늘의 목표이다. 프로젝트에 투입되면 어떤 곳은 여전히 JavaScript(JS) 를, 어떤 곳은 TypeScript(TS) 를 사용합니다.그럼 왜 javaScript 쓰다가 TypeScript로 많이 쓰던데 왜 굳이요? 라고 묻는다면 요즘은 대부분의 프론트엔드 프로젝트에서 TS를 사용합니다. 이유는 단순히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라는 말로는 부족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와 타입스크립트의 차이를 여러 관점에서 풀어보고, 왜 TS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강타입 vs 약타입종류강타입: C++, JAVA, Haskell, Typescript약타입: C, JavaScript, PHP, Rud..
개발을 하다 보면 시간복잡도(Big-O)와 고차 함수(map, filter, reduce 등)를 모두 접하게 되는데이전에 언뜻 보기엔 전혀 다른 분야의 개념처럼 보였다.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 이론의 영역.고차 함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언어 문법의 영역. 하지만 실제 현업에서는 이 둘을 따로 떼어 생각하기 어렵다.왜냐하면, 고차 함수의 사용 자체가 곧 시간복잡도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시간복잡도란? 시간복잡도란, 입력 크기에 따라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르게 실행되는지를 수학적으로 나타내는 지표.O(1): 입력 크기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O(n): 입력 크기에 비례해서 시간이 늘어남.O(n²): 입력 크기의 제곱에 비례해 시간이 늘어남.개발자는 이 복잡도를 바탕으로 코드가 효율적인지 판단한다. 고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