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React
- 수제비
- 정보처리기사
- 자바스크립트
- spring boot security
- security
- 프론트엔드
- 백엔드
- JS
- JavaScript
- frontend
- TypeScript
- It
- 리액트
- spring boot
- Redux
- VUE
- spring
- 웹개발자
- 백엔드개발자
- JWT
- Authentication
- useState
- 타입스크립트
- 큐넷
- TS
- 스프링부트
- 정보처리기사 실기
- Node.js
- Front-End
- Today
- Total
목록oauth (2)
솔적솔적
세션인, jwt이나 여러 인증방법이 있는데 이걸 들었을 때 서버에 요청을하고~ 브라우저에 저장하고~ 요청할 때는~ 에구궁에구궁.. session방식과 JWT방식등이 헷갈려지지않게 딱 정리하여 기록하는 것이 좋겠다 싶어 오늘도 솔적솔적해보려한다. 너무 깊이 말고 간단한 이해를 목표로하여 알아가도록하자. | 1. session-based 어떤 사람이 로그인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다. 그러면 서버는 쿠키를 발행한다. 쿠키가 뭐냐면 브라우저에 몰래 저장할 수 있는 긴 문자 저장공간. 문자들을 차례차례 저장할 수 있다. 문자열을 만들어서 보낸다. 그 문자열에는 세션아이디가 적혀있다. 이 유저가 로그인을 하자마자 이 유저가 지금 로그인을 했다라는 정보를 서버 메모리에 저장을 한다. 저장이 됐다하면 쿠키로 만들어서 브..
getClientRegistration 에는 서버에 기본 정보들이 들어있다. 어떤 OAuth로 로그인 했는지 확인한다. 구글로그인 버튼 클릭을 하면 구글로그인창 나오고 로그인완료 하면 code를 리턴(OAuth-Client라이브러리) => Access Token요청 이 userRequest정보로 뭘해야하냐면 회원프로필 정보를 받아야함(loadUser 함수호출) -> 구글 회원프로필 받아준다. PrincipalOauth2UserService @Service public class PrincipalOauth2UserService extends DefaultOAuth2UserService { //구글로 부터 받은 userRequest데이터에 대한 후처리 되는 함수 @Override public OAuth2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