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Front-End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Node.js
- Authentication
- React
- 큐넷
- security
- VUE
- Redux
- spring boot
- 정보처리기사
- frontend
- 정보처리기사 실기
- It
- TS
- spring boot security
- 수제비
- useState
- 백엔드
- JWT
- 백엔드개발자
- JS
- 프론트엔드
- spring
- 웹개발자
- TypeScript
- 타입스크립트
- 스프링부트
- 리액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시간복잡도 (1)
솔적솔적
개발을 하다 보면 시간복잡도(Big-O)와 고차 함수(map, filter, reduce 등)를 모두 접하게 되는데이전에 언뜻 보기엔 전혀 다른 분야의 개념처럼 보였다.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 이론의 영역.고차 함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언어 문법의 영역. 하지만 실제 현업에서는 이 둘을 따로 떼어 생각하기 어렵다.왜냐하면, 고차 함수의 사용 자체가 곧 시간복잡도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시간복잡도란? 시간복잡도란, 입력 크기에 따라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르게 실행되는지를 수학적으로 나타내는 지표.O(1): 입력 크기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O(n): 입력 크기에 비례해서 시간이 늘어남.O(n²): 입력 크기의 제곱에 비례해 시간이 늘어남.개발자는 이 복잡도를 바탕으로 코드가 효율적인지 판단한다. 고차..
카테고리 없음
2024. 11. 12. 16:06